r51 vs r52
1
[[분류:버츄얼 유튜버]][[분류:주제별 인터넷 방송인]]
2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EmptyLoudSubstantialPickle, 합의사항1=문서 상단에 설명을 위한 이미지를 '파일:키즈나 아이.png'와 '파일:high quality hololive members.png'를 사용., 토론주소2=FlippantSomberOceanicSchool, 합의사항2=대한민국 버튜버 문단에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의 버튜버에 대한 거부감 서술\, 인터넷 인기글 근거로 서술 및 관련 링크 기재\, 해당 부분만 NPOV 적용., 토론주소3=UnsuitableTranquilWearyPie, 합의사항3='한국의 버츄얼 유튜버 시청자들이 볼만한 일본 버튜버가 없다고 느낀다'는 내용을 삭제.,)]
3
||<tablealign=right><tablewidth=55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000> {{{+1 '''버츄얼 유튜버''' }}}[br]Virtual Youtuber / バーチャル Youtuber ||
5
||<nopad><rowbgcolor=#fff> [[파일:키즈나 아이.png|width=50%]] ||
7
||<rowkeepall> 최초의 버츄얼 유튜버 [[키즈나 아이]] ||
9
||<nopad> [[파일:high quality hololive members.png|width=100%]] ||
11
|| 버츄얼 유튜버 그룹 [[홀로라이브]] ||
1
[[분류:버츄얼 유튜버]]
2
[include(틀:씹덕)]
8 3
[목차]
9
[clearfix]
10 5
== 개요 ==
11
'''버츄얼 유튜버'''는 카메라나 특수 장비를 통해서 그 사람의 행동이나 표정을 대신 표현해 주는 캐릭터가 등장해 방송을 진행하는 [[인터넷]] [[방송인]]을 말한다. 해당 분야의 선구자로 불리는 [[일본]]의 유튜버 [[키즈나 아이]]가 처음 사용하며[* 2016년 12월, 키즈나 아이의 첫번째 영상에서 자신을 소개하며 [[https://youtu.be/NasyGUeNMTs&t=28s|'''츄얼 유튜버라는 말, 왠지 멋있지 않나요?''']] 라는 말을 했고, 아이가 성장하며 후속주자들이 생겨나면서 완전히 정착했다.] 정립된 용어다.
6
||<-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nopad>[[파일:버튜버의진실.jpg|width=100%]] ||
7
|| '''버튜버를 요약한 이미지''' ||
8
인형탈을 쓰고 설정놀이를 즐기는 현대의 탈춤 문화. 방구석 [[버육수]]들이 좋아한다. 버육수는 돈이된다.
12 9
13
== 명칭 ==
14
[include(틀:다른 뜻, 설명1=명칭의 역사, 문서명1=버츄얼 유튜버/역사, 앵커1=명칭의 역사)]
16
Virtual Youtuber의 [[가상|virtual]]은 대한민국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버추얼'만이 올바른 표현이며, 관련 표기란에는 버츄얼(X),벌츄얼(X) 모두 해당사항이 아니라고 표기됐다[[https://korean.go.kr/kornorms/example/exampleList.do?regltn_code=0003|#]]. 그러나 '버츄얼 유튜버'와 관련된 경우에 한해서는 역사적으로 '버츄얼'이라는 표기가 좀 더 우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키즈나 아이]]의 초창기 동영상의 한국어 번역에서 [[언어의 사회성|그렇게 쓴 게 널리 퍼져]] [[경로의존성]] 현상에 따라 대중에게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10
버육수들은 넷상 전투력이 강하기로 유명하다.
16 11
17
해외에서 버츄얼 유튜버 업계 전체를 가리키거나 방송인을 가리킬 때 '라이버'[* 니지산지에서 방송인-시청자를 라이버-리스너로 부르는 것에서 유래됐으나 타 기업세, 개인세 버튜버들도 자주 사용한다.], '텔런트'를 제외하면 '브이튜버(VTuber)','V업계','V들'와 같이 'V'로 지칭하나 한국의 경우 '''버튜버''', '''버츄얼''', '''버츄얼 스트리머'''등 '버'로 요약되는 차이가 있다.
12
== 진실 ==
13
근데 시발 [[차소갤]] 갤럼들 대부분이 알고보니 육수였다고!![[https://gall.dcinside.com/m/whyiblocked/50416|#]][[https://gall.dcinside.com/m/whyiblocked/50422|#]][[https://gall.dcinside.com/m/whyiblocked/50432|#]] 뭐 씨발!!
18 14
19
* [[대한민국]]
20
* 버츄얼 유튜버/버튜버
21
* 버츄얼 스트리머 ([[트위치]]/[[치지직]]/[[SOOP]][* 원래는 BJ라고 했으나 SOOP라는 이름으로 사명을 바꾸면서 스트리머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https://zdnet.co.kr/view/?no=20231230170605|#]]])
22
* 버추얼/버츄얼[* SOOP 측에서는 공식적으로 '버'''추'''얼' 표기를 사용한다.] ([[SOOP]])
24
* [[일본]]
26
* バーチャル Youtuber/VTuber
28
* バーチャルライバー: 버츄얼 라이버 ([[니지산지]])
30
* バーチャルタレント: 버츄얼 탤런트 ([[hololive 프로덕션|홀로라이브]])
32
* 영미권
34
* Virtual Youtuber/VTuber
36
* [[중화권]] ([[중국]], [[대만]])
38
* 虚拟YOUTUBER (xūnǐ YOUTUBER): 가상(현실의) 유튜버
15
씨발 버타쿠 아니야 난 향아치만 봤다고
16
어휴 씨발...
17
우욱씹 갤에서 육수 냄새나요 이건 [[완장]]이 부거로 사죄해야 다[[https://gall.dcinside.com/m/whyiblocked/50440|#]]
31 18
32
== [[/역사|역사]] ==
33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버츄얼 유튜버/역사)]
19
줄줄
20
21
22
~~근데 [[갤주]]님 정도면 버튜버 괜찮지 않나~~
23
~~아 갤주는 인정이지[[https://gall.dcinside.com/m/whyiblocked/50548|#]]~~
34 24
35
== [[/목록|목록]] ==
36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버츄얼 유튜버/목록)]
25
[[이세계아이돌]]과 [[우루하 루시아]] 뺀 다른 버튜버들은 모두 긍정적으로 서술돼있는 것만 봐도..
37 26
38
=== [[/목록/국|한국]] ===
39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
27
그러나 리얼월드에선 환영받지 못하는 취미이기 때문에 야외에서 청취할때 각별주의를 요한다.
28
== 목록 ==
29
=== 국내 ===
30
* [[스텔라이브]]
31
* [[아야츠노 유니]]
32
* [[Hebi.]]
33
* [[HANAVI]]
34
* [[독케익]]
35
* [[Hoto_Cocoa]]
36
* ~~[[이세계아이돌]]~~
37
=== 해외 ===
38
* [[사메코 사바]]
39
* [[뉴로사마]]
40
* [[Kanaria]]
41
* [[Marpril]]
40 42
41
== [[/용어|관련 용어]] ==
42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버츄얼 유튜버/용어)]
43
44
== 방송 플랫폼 ==
45
* 국내츄얼 유튜버
46
* [[유튜브]] : VOD,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긴 스트리밍 지연 시간, 높은 후원 (슈퍼챗) 수수료, 시청자 채팅 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한국에서는 유튜브가 라이브 스트리밍 용으로는 인기가 없으며, 주로 커버곡, 생방송 다시보기, 방송 하이라이트 편집 영상이 업로드된다.
48
* --[[트위치]]-- : 짧은 스트리밍 지연 시간, 실시간으로 다시보기 생성, 서드파티 서비스, 트위치 API 제공, 버츄얼 관련 프로그램과 연동할 수 있는 OBS 방송 세팅, 시청자 채팅 관리의 용이성 때문에 한국 버츄얼 유튜버들 거의 대다수가 사용했던 플랫폼이다. 하지만 2024년 2월 27일 한국에서의 서비스 종료가 확정되면서 치지직과 아프리카TV (이후 SOOP으로 명칭 변경)로 대부분 이적했다.
50
* [[SOOP]] : 라이브 스트리밍, VOD, 커뮤니티 플랫폼. 22년 이전까지 아프리카는 버츄얼에 대한 문화가 없었지만, [[2022년 트위치 대한민국 영상 화질 제한 사건|2022년 9월 30일 트위치의 한국 서비스 정책 변경]]으로 인한 반발 효과로 몇몇 버츄얼 스트리머들이 SOOP (구 아프리카TV)으로 이적하면서 버츄얼 방송이 알려졌고, 23년 트위치의 서비스 종료 발표 이후로 본격적으로 버츄얼 스트리머들이 SOOP 에서 활동을 하게 되면서 버츄얼 방송 규모가 증가했다.
52
* [[치지직]] : 라이브 스트리밍, VOD, 커뮤니티 플랫폼. 트위치의 서비스 종료로 아프리카와 함께 대안으로 떠올랐다. 신생 플랫폼이라 많은 게 부족했지만 그만큼 새하얀 도화지인 상태라 트위치 문화를 거의 그대로 옮겨올 수 있었다는 장점이 있어 트위치 버츄얼 스트리머들 중 많은 수가 문화가 익숙한 치지직 이적을 선택했다.
54
* [[ZEPETO|제페토 라이브]] : 무료로 버츄얼 아바타를 만들고 방송할 수 있어 진입 장벽이 높지 않으며, 본인이 원하는 제스처·아이템·배경을 활용해 자신만의 연출이 가능하다. 팬이 현금화 가능한 후원 아이템을 보내 수익화할 수 있고 월 1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는 스트리머들도 있다고 한다. 라이브 방송 내 인터랙션 기능으로 몰입도 높고 매력적인 방송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버튜버로서 데뷔도 가능하여 버츄얼 유튜버 지망생들이 자주 진입하는 플랫폼.
56
* [[X 스페이스]] : X(구 트위터)의 실시간 음성 채팅 서비스.
58
* [[Kick(플랫폼)|KICK]] :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국내에서는 트위치의 [[트위치/사건 사고#s-2.11|2023년 6월 7일 동시 송출 사전 허가 및 광고 제한 공지]]의 여파로 외국 방송인들의 대체 플랫폼으로 소개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60
* 일본 버츄얼 유튜버
62
* [[유튜브]]
64
* [[트위치]]
66
* [[트윗캐스팅]] : 한국의 [[스푼 라디오]]와 비슷하게 라디오 위주의 플랫폼이다. [[우타이테]]가 주로 쓰던 플랫폼이다. 버츄얼 유튜버의 경우에도 메인은 유튜브에서 하고 백업 내지 간단한 잡담을 트윗캐스팅에서 하는 경우가 제법 있다.
68
* [[X(SNS)|X]] : 버츄얼 유튜버와 시청자 모두 필수적으로 쓰다보니 트윗캐스팅을 따로 안 만들고 대신 트위터의 스페이스 기능을 쓰는 경우도 있다. 주로 게릴라+언아카이브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트위터로 하는 방송을 놓치고 안타까워하는 팬도 적지 않다.
70
* [[REALITY APP|REALITY]] : 모바일 플랫폼. 3D 아바타 채팅에 가깝다. 다른 장비 필요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구동이 가능하다는 게 큰 장점이다. 13세로 나이 제한이 걸려있으나 인증이 허술하여 방송인들 중에서 [[잼민이|어린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72
* 그 외 [[쇼룸]], [[이리암]] 등 소규모 플랫폼이 있다. 특성상 방송이라기보다 방장이 주제를 던지는 채팅에 가깝다.
74
76
* 글로벌
78
* --[[브이스트림]]--: 버츄얼 유튜버 특화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시작했으나 2024년 4월 1일 서비스를 종료했다.
80
82
== 관련 기술 ==
84
모든 버츄얼 유튜버가 아래 설명된 기술이나 장비를 전부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3D에서만 사용되는 기술, 2D에서만 사용되는 기술,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 있다. 밑에 설명한 그 외에는 일반 유튜버랑 동일하다.
86
88
=== 아바타 제작 ===
90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그래픽 소프트웨어)]
92
94
* 원화 작업
96
* 2D 아바타
98
* [[Live2D]] : 2D 그림을 3D처럼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기술.[* 원래는 소프트웨어 이름이다.] 보통 안면인식과 세트로 쓰인다. 다만 움직이는 범위가 크게 한정되어 있어 표정이나 시선 방향 전환 정도면 몰라도 복잡한 3차원 움직임, 예컨대 팔을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뒤돌거나, 허리를 움직이거나 하는 등은 불가능하다. 소통 (저스트 채팅) 방송이나 게임 실황 중계 정도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춤 방송, VR 컨텐츠, 뮤직 비디오 제작 등에는 활용이 힘들다.
100
* 3D 아바타
102
* 3D 모델링
104
* 모션 제작: 아바타의 동작을 만들어두고 감정 표현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작업
106
* [[VRM]], FBX: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는 3D 캐릭터 파일
108
* [[렌더링|쉐이딩]]: 빛 표현, 사물의 질감 등을 표현하는 방식. 릴툰, 닐로툰을 많이 사용한다.
110
* [[리깅]] : 3D 캐릭터에 뼈대를 만들어서 움직일 수 있게 만드는 작업이지만, 2D 일러스트 에서는 배우의 움직임을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으로 연결해 주는 작업을 말한다.
112
* 본 리깅 : 3D 캐릭터에 뼈와 관절을 만들어주는 작업
114
* 립싱크 : 발음별로 만들어둔 애니메이션을 성우가 내는 소리를 분석해서 자동으로 해당 소리에 맞는 입모양 애니메이션을 출력 하는 기술
116
* 모션 트래킹 연동 : 아바타가 [[모션 캡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118
* 페이셜 트래킹 연동 : 아바타가 [[페이셜 캡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120
* 아이 트래킹 연동 : 아바타가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페이셜 트래킹]]의 일부분이다.]
122
124
=== 모션 입력 ===
126
* [[모션 캡처]] : 모션 캡처에도 여러 종류가 있고 유튜버마다 같은 방식의 모션 캡처를 사용하지 않는다. 키즈나 아이의 경우 퍼포먼스 캡처 방식을 사용하는 듯하다.
128
* 페이셜 캡쳐 : [[페이셜 트래킹]]을 통해 사람의 표정을 캡쳐하는 기술이다. 사용하는 장비에 따라 눈동자 방향, 턱, 볼, 눈 깜빡임 등 더 많은 표정을 표현할 수 있다.
130
132
=== 모션 출력 ===
134
* 모션 데이터 파일 (BVH): 모션 캡쳐의 결과로 출력되는 파일이다. 후 보정으로 수정할 수 있으며, 3D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영상 제작에 사용할 수 있다.
136
* 실시간 렌더링: 배우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캐릭터 애니메이션으로 구현 하는 기술이다.
138
140
=== 하드웨어 ===
142
* [[https://neuronmocap.com/|PERCEPTION NEURON]][[https://youtu.be/TgDcozEjj90|#]]: 가성비가 제일 좋은 모션 캡처 기기, 초창기 자본 투자가 적었을 때는 해당 기기 사용 유튜버가 많은 편이었으나, 대기업이나 자체적으로 제작 스튜디오가 있는 게임 회사들이 들어오면서 게임 속의 시네마 애니메이션 제작용이나 할리우드 영화에서나 쓸법한 장비도 사용되는 중이다. 다만 기업 소속 등이 아닌 이상 장비와 프로그램 모두 1천만 원 이상의 고가이기에 체급이 큰 버튜버가 아닌 이상 개인 소유가 아닌 대여점에서 빌리는 정도만 있다.
144
* [[HTC VIVE]] : 룸스케일의 가상 공간과 모션 캡처를 제공하기 때문에 별도의 모션 캡처 기기 없이 어느 정도 버츄얼 유튜버를 구현 할 수 있다.
146
* [[iPhone]][* [[Face ID]]를 지원하는 [[iPhone X]]와 이후 기종]: 페이셜 캡쳐를 위해서 사용한다.[* Face ID]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얼굴을 3D로 스캔하며, 인식 가능한 파라미터 수는 52개이다.
148
* VIVE 페이셜 트레커 : 38개의 파라미터
150
* [[웹캠]] :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서 표정이나 모션을 유추한다. 아이폰보다 정확도가 떨어지지만, 가장 저렴하게 버츄얼 유튜버를 시작할 수 있다.
152
* [[키넥트]] : 모션 캡쳐 기기. 섬세함은 좀 떨어져도 저렴하다. 관련 튜토리얼이나 API가 많다.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281&v=Hi5kMNfgDS4|키넥트 2.0 영상.]]
154
* [[Leap Motion|Leap Motion Controller]] : 카메라를 이용한 핸드 트래킹 장비이다.
156
* [[mocopi]] : [[소니]]에서 발매한 소형화된 관성식 모션 트래킹 장비이다.
158
* Xsens : 관성식 모션캡쳐 장비
160
162
=== 소프트웨어 ===
164
||<|2><tablewidth=100%><width=12%> '''이름''' ||<|2><width=9%> '''지원 파일[br]형식''' ||<-2> '''캡쳐 가능 여부 및 장비''' ||<|2><-2> '''비고''' ||
166
||<width=12%> '''페이셜 캡쳐''' ||<width=12%> '''모션 캡쳐''' ||
168
|| 유니티 || FBX[* Format 형식을 'FBX for Unity'로 설정해야 한다.][br]VRM || O || O ||퍼셉션 뉴런 장비를 사용한 모션캡쳐 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 ||
170
|| [[멜리고]] || VRM || 아이폰[* XS 이상] || Vive 트래커[br]Mollisen Cast ||2022년 7월 7일 대한민국의 기업인 [[필더세임]]에서 멜리고 서비스 시작. 다중 접속 지원. 자체 제작한 트래커[* Mollisen Cast]로 손가락 움직임을 지원한다.[[https://meligo.co.kr/content/view?mid=110&lang=KO|#]] ||
172
|| [[VRChat]] || FBX || VR 장비[* VIVE 페이셜 트래커 장비, 아이트래킹 지원 VR 장비 필요] || VR 장비 ||가상현실 지향 음성 채팅 소프트웨어. VR 장비를 이용한 모션 캡쳐를 지원한다. ||
174
|| [[Hitogata]] || FBX[br]VRM || 웹캠 || X ||얼굴을 인식하면 그 표정에 해당하는 캐릭터의 표정을 나타낸다. 특정한 표정 애니메이션을 띄울 수도 있기에 '''> <''' 표정이나 우는 표정, 눈물 등을 표시 할 수 있다. ||
176
|| VSeeFace || VRM[br]{{{#!wiki style="letter-spacing: -0.6px"
178
VSFAvatar}}} || 웹캠[br]아이폰 || [[Leap Motion|립모션]][* 핸드트래킹용 특수 캠] ||OSC/VMC protocol을 지원한다. [[https://www.vseeface.icu/#abou|#]] ||
180
|| 애니모티콘 || 내장[* 커스터마이징 가능] || 아이폰 || X ||아이폰 X부터 추가된 기본 앱. ||
182
|| [[스콘(기업)#s-2.2|스콘]][* 원래 미츄였으나 [[스콘(기업)|스콘]] 산하 [[미츄|동명의 버추얼 그룹]]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명칭을 변경하였다.] || 3D || 아이폰[* Xr, SE2, 11이상] || ?[* BETA 서비스] ||버츄얼 캐릭터 솔루션.[[http://www.meechu.kr/|#]] ||
184
|| VTube Studio || Live 2D || 웹캠[br]안드로이드 || 웹캠[* 전신 트래킹은 지원하지 않고 손 트래킹만 지원한다.] ||PC와 안드로이드를 지원한다.[[https://denchisoft.com/|#]] ||
186
|| Animaze || Live 2D[br]FBX[br]VRM || 웹캠 || X ||[[https://www.animaze.us/|#]] ||
188
|| Dollars MoCap || 3D || 웹캠[* Animaze 연동] || 웹캠 ||중국 기업 [[https://www.dollarsmocap.com/|#]], 비디오 파일 읽기 지원. IP통신으로 멀티 지원. ||
190
|| Actionman || VRM[br]GLB || 아이폰 || 아이폰 ||[[https://apps.apple.com/kr/app/actionman/id1613638757?platform=ipad|애플스토어]]||
192
|| REALITY || 내장 3D || 모바일 || 모바일 ||일본 기업 [[그리(기업)|GREE]]에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https://reality.app/|#]] ||
194
|| 마스코즈 || VRM[br]내장 3D || 아이폰[br]웹캠[br]안드로이드 || [[Leap Motion|립모션]] ||버츄얼 캐릭터 솔루션.[[https://www.mascoz.com/|#]] ||
196
|| ITuber || 3D[* 주문 제작] || 아이폰 || X ||[[https://ituber.co.kr/index.html|#]]. 동물, 마스코트 캐릭터, SD캐릭터를 많이 사용한다. ||
198
|| [[Warudo]] || 3D || 아이폰 || [[https://docs.warudo.app/ko/docs/mocap/overview|지원 목록]] ||[[https://docs.warudo.app/ko/docs/|#]] ||
200
|| Hyper || 내장 3D[br]VRM[br]Live 2D || 아이폰 || 웹캠 ||[[https://hyper.online/|#]] ||
202
|| avvy || 내장 3D || 모바일 || X ||[[https://avvy.live/|#]]||
204
* 방송 효과
206
* Shoost : 배경에 필터 효과를 준다. 일본인 개발자 MuRo가 개인 개발로 만든 어플. 현재 얼리억세스 상태이며, [[https://www.patreon.com/posts/new-app-shoost-62585593|patreon]]이나 [[https://muro.fanbox.cc/posts/3419623|pixivFANBOX]]를 후원하면 다운받을 수 있다.
208
* T.I.T.S : 트위치 방송에서 물건던지기[[https://remasuri3.itch.io/tits|#]]
210
* 그 외 [[인터넷 방송/유용한 도구]]
212
* {{{#!folding [ 서비스 종료 ]
214
||<|2><tablewidth=100%><width=12%> '''이름''' ||<|2><width=9%> '''지원 파일[br]형식''' ||<-2> '''캡쳐 가능 여부 및 장비''' ||<|2><-2> '''비고''' ||
216
||<width=12%> '''페이셜 캡쳐''' ||<width=12%> '''모션 캡쳐''' ||
218
|| [[FaceRig]] || 내장[* Live 2D. 추가 캐릭터는 DLC 구매 필요] || 웹캠[br]안드로이드[br]아이폰 || X ||얼굴을 인식하면 그 표정에 해당하는 캐릭터의 표정을 나타낸다. 특정한 표정 애니메이션을 띄울 수도 있기에 '''> <''' 표정이나 우는 표정, 눈물 등을 표시 할 수 있다. ||
220
|| [[플룸디|아바킷]] || VRM[br] {{{#!wiki style="letter-spacing: -0.6px"
222
VSFAvatar}}} || 웹캠[br]아이폰 || 웹캠 ||한국 기업의 소프트웨어. 2025년 5월 3일 서비스 종료 ||}}}
224
=== 평가 ===
226
2D 버츄얼 유튜버를 준비하는 방법중 하나로는 캡쳐 장비는 [[웹캠]], 프로그램은 VTube Studio을 사용하며, 아바타로 쓸 2D 그림만 있으면 된다. 3D 버츄얼 유튜버에 비하면 상당히 쉬운 편이지만 디테일하게 표현을 하도록 만들려면 상당한 돈이 든다.
228
230
3D 버츄얼 유튜버는 모션 캡쳐 장비, 3D 모델로 된 아바타[* 매우 단순하게 과정을 설명하자면 캐릭터 모델링 작업 + 포토샵이나 서브스탠스 페인터를 이용한 텍스쳐 작업 + 리깅과 애니메이션 작업 + 유니티 또는 언리얼을 비롯한 엔진 작업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컨셉 아트나 일러스트 등 역시 필요하다.]가 필요하며 프로그램 지식도 상당히 많이 필요하다. 집이 협소할 경우 따로 스튜디오 대여까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준비가 힘들다면 얼굴 표정만 캡쳐하고 미리 만들어진 동작을 필요한 상황에 맞춰 재생하는 방식이나, 모션 캡쳐 장비를 손 부분만 커버하는 수준으로 축소시켜 단가와 조작 난이도, 공간 문제를 완화하는 방법이 있다.
232
234
* 선택 장비(비용) 대비 표현 한계에 대한 정보를 버츄얼 유튜버 네무가 설명한 동영상이 있다. [[https://youtu.be/0CZbsDrvKHw|Youtube(일본어)]]
236
* 유튜버가 버튜버 전신착용장비 체험하는 영상[[https://youtu.be/63OBPEdTYTA|Youtube]]
238
240
== 준비 과정 ==
242
=== 개인세와 기업세 ===
244
버츄얼 유튜버가 되고 싶다면, 먼저 개인 활동으로 나설지, 아니면 기획사에 소속되어 데뷔할지를 정해야 한다. 일본에서는 이를 '''개인세''', '''기업세''' 라고 부르며, 한국에서도 본토의 용어를 수입해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246
248
일반적인 인터넷 방송은 컴퓨터만 있으면 방송을 시작할 수 있고, 캠 방송은 웹 캠 아무거나 하나만 있으면 큰 문제는 없다. 또한 방송 환경을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도 캠이나 조명, 사운드 보드, 컴퓨터 사양 업그레이드 정도가 전부다. 그래서 시작은 혼자 집에서 가볍게 시작했다가 방송 체급이 커지고 세금이나 광고 등 처리할 게 많아지면 [[MCN]]과 계약하는 식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버튜버는 아바타를 준비할 때 부터 돈이 많이 나간다. 거기서 끝인게 아니라 차후에도 계속해서 더 좋은 제작자와 컨택하여 아바타 퀄을 업그레이드, 신의상 준비해야하고, 전신 3D 방송을 하고 싶으면 모션캡쳐 장비와 해당 스튜디오도 대여 해야 하는 등, 버튜버 방송은 돈이 들어가는 일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전부 지원이 되는 기업에 소속되는 방식이 버튜버 업계에서 많이 이루어진다.
250
252
또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기획사의 인지도는 데뷔 멤버의 초기 인지도에 큰 이점을 준다. 특히 버튜버판은 개인 혼자서 데뷔해봐야 뭔가 큰 계기라도 있지 않는 이상 아무리 본인이 방송재능이 있더라도 봐주는 사람 자체가 없어서 묻혀버리기 쉽다. 하지만 이름 있는 기업세 소속이라면 데뷔방송을 하지 않았는데도 몇십만 구독자를 돌파하는 등 아예 하꼬 기간이 사라지며, 방송 데뷔 후에도 같은 소속 멤버들과 합방을 하는 등 방송 방향을 잡는데에도 매우 유리하다.
254
256
물론 기업세라고 해서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일단 기업에서 지원자들을 선별하는 과정을 거쳐야하는데, 하꼬 시기를 스킵할 수 있는 만큼 당연히 수많은 지원자들이 몰려들며 그 과정에서 쭉정이들은 걸러내므로 등용문을 통과하여 데뷔할 실력이라면 어떤 방송을 했어도 성공할 재능이라고 말할 정도로 힘든 과정이다. 활동 중에는 제약이 있을 수 있으며, 수익 역시 소속사와 나눠가져야 하며, 계약에 따라서 활동명(상표권)과 아바타(저작권) 모두 회사에 귀속된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계약기간이 종료되어 소속사에서 나왔다면 더 이상 해당 이름과 아바타로 활동할 수 없고, 새로운 이름과 아바타로 활동해야 한다. 보통은 목소리로 특정되어 기존 팬들이 일부 찾아오지만, 명의부터가 달라지며 전생 시절의 이야기를 그대로 이어할 수 없게 되므로 이 부분에서 같이 따라온 시청자들은 단절감을 느끼게 된다.
258
260
시작은 개인세로 활동을 하다가 기획사에 지원서를 넣고, 합격 후 기존 개인세 명의는 버리고 기업세로 환생하는 경우도 많으며, 반대로 기업세였던 버튜버가 [[졸업(버츄얼 유튜버)|졸업]]이나 활동 종료 등으로 기획사를 나왔을 경우, 이 당시의 명성과 경력을 활용해 개인세로 다시 환생하여 활동하기도 한다. 이럴 경우 연기자가 직접 밝히지 않는 이상 [[빨간약(버츄얼 유튜버)|빨간약]] 규칙은 유지되지만, 전생이 공공연연한 비밀이 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이 과정에서 자기 개인세의 홍보 및 영달을 위해 기업세를 나왔느냐/이용했느냐며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안티들도 필연적으로 생긴다.
262
=== 아바타 ===
264
보통 버튜버용 캐릭터 가격은 [[케바케]]긴 하지만 기성품 3D 캐릭터 < 주문 제작 2D 캐릭터 < 주문 제작 3D 모델링 캐릭터 순으로 비싸다고 알려져 있다.
266
268
기성품 3D (속칭 3D [[뚜따]])가 저렴한 이유는 애초에 [[VRoid Studio]]나 [[VRChat]] 등 여러 유저들이 쓸 수 있는 속칭 '공용 아바타' 개념으로 만들어진 것이라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기 때문이다. Live2D는 기성품을 가져다 커스텀하는 게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가볍게 버튜버 놀이를 하는 방송인들이 샘플 캐릭터를 갖다 쓰는 정도로만 쓰이며, 본격적으로 버튜버 활동에 뛰어든다면 자신의 캐릭터성을 반영한 아바타가 필요한데 기성품 3D 아바타를 파츠별로 분해 조립하고 모델링을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으로도 기본적인 캐릭터성은 부여할 수 있다. 그래서 버튜버 활동을 막 시작한 방송인은 기성품 3D 아바타를 [[뚜따]][* 원래는 PC 조립에서 쓰는 용어지만, 이쪽에서는 앞서 설명한 기성품 파츠 조합 및 커스터마이징을 뜻한다.]하여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반면 버튜버들이 주문 제작 의뢰를 하는 경우는 당연히 기성품 아바타 수준을 넘어서 다른 방송인과 차별화되는 요소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퀄리티를 따질 수밖에 없다. 계약 조건에 따라서는 의뢰한 버튜버 방송인이 저작권을 완전히 인수하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저작권 관련 비용도 추가된다. 사전에 원작자와 상의해서 저작권 관계를 정리 해둬야 한다.[[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6738325|#]] 안그러면 추후 굿즈 등을 내려 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심각해지면 저작권 침해 배상을 해야 할 수도 있다.[[https://youtu.be/4z38buyw4Y0?t=31|#]]
270
272
[[Live 2D]]가 양산형 3D보다 비싼 이유는, 반드시 주문 제작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2D 그림 기반이다보니 3D 아바타처럼 '파츠'를 조합한다는 개념이 없어서, 제작자인 일러스트레이터가 일일히 각도별, 표정별로 파츠를 다 그려야 하고, 제작자인 리거가 [[리깅]]하는 과정에 품이나 시간이 많이 든다.[* 파츠별로 하나하나 다 연결해줘야 하는데 상당히 노가다 작업이다.[[https://youtu.be/5cGoHiaX8uE|#]] ] 특히 실력있는 리거를 구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274
276
주문 제작 3D 캐릭터가 제일 비싼 이유는 3D 모델링 캐릭터가 눈에 거슬리지 않을 정도로 고품질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고품질로 뽑아내는게 힘들었으나 기술이 발달하고 노하우가 축적되면서 2D 모델링 수준의 3D 모델링 품질을 뽑아내는게 불가능하진 않게 됐다. 먼저 3D로 데뷔하고 몇년이 지나서야 2D를 공개한 [[사쿠라 미코]]의 경우 2D 모델링이나 3D 모델링이나 품질 차이가 크게 나지 않을 정도다.[[https://youtu.be/u1Hu6arfhEo?t=72|#]][* 왼쪽이 3D고 오른쪽이 2D다.[[https://i.ytimg.com/vi/u1Hu6arfhEo/hq720.jpg|해당 키리누키 영상의 스틸 비교샷]] ] 하지만 [[페이셜 트래킹|표정]] 및 [[모션 캡쳐|팔다리 움직임까지 캡쳐]]해 주는 장비의 가격이나 스튜디오 운영 비용 등이 포함되는게 문제다. 이 때문에 아이폰으로 집에서 방송할 수 있는 Live 2D가 나오기 이전에는 회사마다 버튜버가 한두 명만 있는 경우가 많았다.[[https://youtu.be/irUHZNh1Rkg?t=65|#]][* 한국 버튜버 방송계에서는 이런 작업을 버튜버 방송인의 개인 사비와 팬들의 자원봉사로 메우는 경우가 많지만, 결국 이를 구축하고 설정하고 조정하는 것이 다 돈이 드는 일이다. 게다가 재능기부란 명목으로 행해지는 팬들의 자원봉사는 결과적으로 [[열정 페이]]와 구분하기 힘들 수 있다. 실제로 2025년에 [[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작업 시스템 관련 논란|이와 관련한 논란]]이 발생한 적도 있다. 일본 버튜버 회사들이 꽤 큰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감수하면서도 팬들의 자발적 지원을 받는 것을 조심스러워하는 이유도 결국 저작권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278
280
3D 모델링 캐릭터가 눈에 거슬리지 않을 정도로 고품질이어야 한다는 말을 부연 설명하면, 다른 게임이나[* 일부 게임의 경우는 기술력이 부족한 경우 아예 긴머리를 안 넣기도 하고, 이게 PC 논란을 부르기도 한다. 오히려 [[스텔라 블레이드]] 같은 게임이 이례적인 경우다.] 3D 모델링처럼 3D 오리지널 아바타를 제작할 때도 긴 머리카락, 긴 치마, 가슴과 팔이 느슨하게 이어지는 의상 (오프숄더, 망토, 숄 등)등은 구현하기 어렵다. [[https://youtu.be/a_dO25bl-SE|#]] 이런 요소들을 아바타에 붙일 때는 충돌 영역 (Collider)을 제대로 꼼꼼히 설정해 주지 않으면 머리카락이나 옷자락이 몸을 뚫고 들어간다거나 특정 부위가 마구 발광을 하며 진동하는 버그가 발생할 수 있다. 신체 쪽에서는 어깨나 겨드랑이 쪽이 처리하기가 힘들다. 이 부분을 잘못 처리하면 사탕 포장지처럼 팔이 꼬여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3D 업계에서는 아예 이런 현상을 캔디 워랩 (Candy wrap)이라고 부른다.[[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515648&memberNo=873146|#]] 홀로라이브를 예로 들면 [[츠노마키 와타메]]의 [[https://youtube.com/shorts/dNcb3wUGf2w|긴머리와 망토 모델링]]과 [[나키리 아야메]]의 [[https://youtube.com/shorts/-mKhvVkomf0|오프숄더 의상]]을 예로 들 수 있다.
282
284
[[3D 멀미]]가 심해서 아예 시도하는 걸 포기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보통 3D 모델링 캐릭터가 없으면 3D 방송 같은 컨텐츠를 할 수 없어 방송 콘텐츠에 제약이 생기게 된다. 특히 [[댄스]] 방송이나 [[링피트]] 등의 운동 방송 같이 몸을 쓰는 콘텐츠는 2D 판때기만 띄운 상태로는 몸동작 전달이 어렵다. 그래서 3D 캐릭터가 없는 버튜버들은 어떻게든 이를 때우려고 노력한다. 3D 대용으로 캐릭터 입간판 같은 이미지를 달고 방송하기도 하고, [[스몰 캐릭터]] 같이 [[데포르메]]된 [[SD 캐릭터]]로 대신하기도 한다.[* 거의 기성품 3D 캐릭터와 비슷한 퀄리티지만 신체 비율이 작아 동작이 귀엽게 보여서 많이 쓰인다.]
286
288
보통 개인 버튜버는 가볍게 시작하는 경우 3D 뚜따, 조금 진지하게 시작하는 경우 Live2D로 시작하는 편이다. 아이폰만 있으면 카메라로 트래킹이 되므로 진입하기 쉽기 때문이다.[* 진입 장벽이 낮은 이런 쪽은 [[자캐]] 걸어놓고 잡담, 게임 방송하는 이른바 [[듀라한(속어)|듀라한]] 방송과 그렇게 크게 차이나지도 않는다. 표정이나 몸짓이 아바타에 실시간으로 반영된다는 점에서 더 발전됐다는 차이만 있다.] 3D 뚜따라고 '덜 진지하다'라고 판단할 근거는 부족할 수 있으나, 적어도 비용 투자 면에서는 Live2D 쪽이 더 큰 비용을 투자하면서 진입하는 게 사실이다. 처음부터 3D 오리지널 아바타를 가져오는 건 기업 입장에서도 부담이 가는 지출이라, [[dooby3D|두비]]같이 본인이 아바타 제작자가 아니고서야 개인 방송인이 데뷔 때부터 3D 아바타를 준비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게다가 엄밀히 따지면 두비는 재데뷔한 것으로 이 분야 경력자로 일하며 모은 돈으로 3D 아바타를 마련한 거라 진짜 초짜 데뷔는 아니다.] 기업세 버튜버는 회사 성향에 따라 Live2D로 시작하거나 또는 주문 제작 3D 캐릭터로 시작하는 편인데, 아무래도 Live2D로 시작한 버튜버들도 앞서 말한 이유로 어느 정도 이상 성공하면 3D 모델링 캐릭터를 갖추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일례로 [[홀로라이브]]와 [[니지산지]]의 경우 데뷔는 2D로 하고 나중에 어느 정도 인기가 생기면 3D 캐릭터를 만드는데, 그때까지 생긴 [[밈(인터넷 용어)|밈]]이나 본인의 특징 등을 모델에 적절히 반영시킨다. 3D 캐릭터가 있다고 해서 2D 캐릭터를 안 쓰고 버리는 일은 없는데, 이는 단순히 개인이 자택에서 3D 캐릭터로 방송을 하기에는 모션 트래킹을 할 수 있는 스튜디오를 준비해야 하는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3D 뚜따로 시작한 경우도 방송이 성장함에 따라 주문 제작 3D 캐릭터로 바꾸려 하는 경우도 많은데, 대표적으로 [[이세계아이돌]]이 3D 뚜따로 시작해 고퀄리티 주문 제작 3D 캐릭터로 교체한 사례이다.[* 이세계아이돌의 경우 뚜따 모델링의 원작자들과 합의를 거쳐 원작자에게 직접 오리지널 3D 캐릭터 제작을 맡겨 기존의 이미지를 그대로 이어나갔으며, [[BOOTH]] 캐릭터 제작자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3D 캐릭터 제작의뢰를 받지 않아 대기줄이 없다시피하기에 고퀄리티의 캐릭터 모델링을 원만하게 받을 수 있었다.]
290
292
2020년대 이후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서 가격이 비싸졌다. 인기 일러스트레이터와 리거의 경우 거의 1년 이상 작업량이 밀려 있을 정도라고 한다. 애초에 일러스트레이터나 리거들 중에 이런 버튜버 캐릭터를 만들어본 사람이 별로 없는데, 그마저도 여러 방송인의 캐릭터를 마구 받아서 만들면 나중에 신의상 제작 등 수정이나 추가 요구가 있을 때 해야 하는 작업이 더 늘어나기 때문에 의뢰를 많이 안 받으려고 한다. 의뢰를 받는 제작자도 개인세인 버튜버가 대금을 지불하지 않거나, 나중에 트러블이나 스캔들이 일어나 커리어 평판에 악영향을 끼칠까 우려해 기업세 버튜버의 의뢰만 받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 시청자수가 꽤 많은 [[탬탬버린]]도 버튜버 캐릭터를 의뢰할 때 돈을 많이 주겠다고 해도 제작자를 구할 수가 없어서 고생했다고 한다.] 업계 상위권 업체인 [[홀로라이브]]나 [[니지산지]]도 데뷔하자 마자 주문 제작 3D 모델링 캐릭터를 주진 못하고 일정 수 이상 구독자를 달성하면 주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생각보다 주문 제작 3D 모델링 캐릭터를 만드는 게 시간도 많이 걸리고 비용도 많이 드는지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hololive DEV_IS|hololive DEV_IS]] 소속 그룹인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ReGLOSS|ReGLOSS]]의 경우 춤과 공연이 중심이 되는 아이돌 활동을 표방한 그룹이라는 특성상 주문 제작 3D 모델링 캐릭터가 필수임에도 데뷔 때 바로 만들어주지 못했다. 업계 상위권 업체인 홀로라이브마저 이럴 정도니 다른 버튜버들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약간 거품이 껴있다는 평가도 있으나 국내의 경우도 아바타 제작 업체를 이용하면 2D는 200만 원대부터, 3D는 1000만 원대부터 시작한다고 한다.[[https://www.dogdrip.net/475775532|#]] [* 스트리머 [[백곰파]]는 천만 원에 아바타를 제작했으나 퀄리티가 좋지 않아 '[[치지직/밈#s-3.1|1BGP]] = 1000만 원' 밈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워낙에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순당무]]의 [[순당무#꽃둥이 작가 3D모델 외주 먹튀 공론화|3D모델 외주 먹튀 공론화]] 등의 사건사고가 벌어지기도 했다.]
294
296
=== 역량 ===
298
유튜버로서 성공할 수 있는 방송인으로 역량[* 즉, 버튜버라고 할지라도 아바타가 아니라 방송 역량이 메인이다.]을 기본으로 가져야 한다. 다만, 본질적으로 노캠 유튜버이고 서브컬쳐 계열 방송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버튜버가 가지는 보편적인 역량은 아래와 같다. 물론 이하의 내용이 버츄얼 유튜버로 성공하기 위한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그래도 다음과 같은 역량들을 여럿 갖추면 성공할 확률이 오른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수만 개에 달하는 소위 '[[하꼬방]] (극히 작은 규모의 방송 채널)' 사이에서 입지를 다지기 위해서는 아래 중 최소 둘 이상의 역량은 있어야 유리하다. 마찬가지 이유로 유명 버츄얼 유튜버들은 아래 역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가 거의 없다.
300
* 인터넷 방송에 대한 이해
302
버츄얼 유튜버도 인터넷 방송 중 하나의 장르이므로, 화술, 외국어, 사교성, 방송 경험, 강한 정신력, 성실함, 인성 등 인터넷 방송인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역량을 갖춘다면 좋다.
304
* 음악
306
만국 공용어인 음악을 다룰 줄 알면 그것만으로도 최고의 콘텐츠를 확보한 셈이다. 과거 [[우타이테]] 활동 경력을 가지고 있던 경우가 많으며 드물게는 아이돌로 데뷔했다가 이후 버츄얼 유튜버로 재데뷔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홀로라이브의 [[타카나시 키아라]], 국내에서는 [[마왕루야]], [[이세계아이돌]]의 [[릴파]]가 전직 아이돌이었던 경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308
* 미술
310
버츄얼 유튜버의 트렌드는 대개 [[서브컬처]] 문화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미술, 특히 [[모에 그림]]에 일가견이 있다면 이목을 끌기 쉬우며, 그림 방송이라는 마르지 않는 컨텐츠를 창출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홀로라이브]]의 [[호쇼 마린]], [[니노마에 이나니스]]와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국내에서는 [[이세계아이돌]]의 [[징버거]]가 과거의 그림 방송 경력을 살려 다채로운 미술 콘텐츠를 진행하기도 한다.
312
* 게임, [[애니]], [[밈]]에 대한 지식
314
미술 항목과 마찬가지 이유로, 버츄얼 유튜버는 캐릭터라는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서브컬처 문화의 핵심을 이루는 콘텐츠와 거기서 파생되는 밈 등에 대한 지식을 두루 가지고 있는 [[능덕]]이라면 좋다. 높은 덕력을 지닌 유명 버츄얼 유튜버로는 홀로라이브의 [[시라카미 후부키]], [[호쇼 마린]] 등이 있으며, 이러한 문화에 무관심하던 일반인이 도전하면 시청자들과의 공감대 형성이 어려운 편이다. 물론 이 또한 해 나가기 마련인데 관심을 가지거나 일반인으로서 생각하는 감상 등을 활용하면 무시하지 못할 시너지를 끌어낼 수 있다. 대표적으로 홀로라이브의 2기생 오오조라 스바루가 있으며 0기생 토키노 소라랑 EN 1기생 가우르 구라 또한 이에 해당된다. 둘 다 상당한 인기를 자랑하지만 서브컬처 문화를 전혀 모르거나 어두웠던 탤런트들이다.
316
* 목소리
318
버츄얼 유튜버 역시 [[성우]]처럼 캐릭터를 내세워야 하므로, 매력적이고 개성적인 목소리는 캐릭터의 인상에 큰 영향을 준다. 다만 관련 분야 중에서도 목소리나 연기력 등의 우선순위가 낮은 케이스들도 많다. 대신에 그만큼 다른 부분에서 인상을 줘야 할 것이다. 이 사례에 해당되는 것이 대표적으로 홀로라이브 3기생이자 높은 인기를 자랑하는 [[우사다 페코라|페코라]]로, 페코라는 연기를 한 적이 그다지 없으며 방송에서 보여준 광폭화 등 대부분이 진짜 감정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320
* 발성
322
평소 목소리와 다른 방송용 목소리로 장시간 대화하거나 노래를 불러야 하고, 때로는 큰 소리로 과장된 리액션을 취해야 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발성법을 갖추고 목 건강을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목소리가 갈려서 변하면 키리누키가 아카이브한 과거 목소리와 비교되어 장기적인 악영향이 올 수 있으며, 상시로 목이 아파서 예정된 스케줄에 방송을 하지 못하는 일이 계속해서 일어난다면 치명적이다.
324
* 기획력
326
기존 인방의 트렌드인 엽기 방송이나 게임 실황의 매너리즘에서 벗어나려면 신선한 방송 컨셉을 기획해 자신만의 캐릭터를 확보하는 게 좋다. 해외에서는 [[왓슨 아멜리아]], [[CodeMiko]], [[Neuro-sama]]가 타인이 흉내내기 힘든 기술력을 기반으로 하는 기획으로 주목받았다.
328
* 자본
330
전문가들을 고용할 자본이 있다면 수준 높은 조언을 받거나 고품질의 영상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적정 수준 이상의 컴퓨터 및 방송 장치를 구비할 수 있어야 방송 활동에 지장이 덜 생긴다. 그리고 모든 직업이 그렇지만 갖고 있는 돈이 없으면 직업 활동에 많은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면 대규모 합방이 가능한 스튜디오 설비나 풀 모션 트래킹이 가능한 장비 같은 건 개인 방송인이 마련하기가 어렵다.
332
334
=== 활동 ===
336
기획사 소속이라도 회사 방침에 따라 활동하는 방향성이 나뉘는데, [[MCN]]으로 개인 방송에 간섭하지 않고 법적 보호만 해주는 경우도 있고, [[연예 기획사]]처럼 자본 지원, 철저한 일정관리, 활동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다.
338
340
* 영상 콘텐츠
342
유튜브에 업로드 되거나 생방으로 진행하는 콘텐츠는 게임 플레이와 잡담, 노래 등이 있다. 지상파 방송 포맷을 차용하기도 하며, 오리지널 기획 방송이나 정기적으로 라디오 등을 진행하기도 한다.
344
* 연기자와 캐릭터
346
아바타를 사용한 시연자가 [[성우|직접 목소리를 담당]]한다.[* 보통 일반인이나 무명 성우를 쓰는 경우가 많지만 YUA처럼 [[미카미 시오리|프로 성우]]를 쓰는 경우도 있으며 [[VOICEROID]], [[CeVIO]]와 같은 프로그램을 쓰는 경우도 있고, 본인이 직접 목소리를 내되 보이스체인저를 사용하여 출력되는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바꾸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시청자는 강한 [[성캐일치]]를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아이돌물]]의 성캐일치와는 개념이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아이돌물의 성캐일치는 이미 정보가 드러난 [[성우]]를 캐릭터와 일체화시키면서 성우 개인의 특징과 캐릭터의 특징이 상호 교류되는 방식이다. 서로 다른 존재인 성우와 캐릭터 사이에서 성우가 캐릭터의 요소를 흡수해 성우의 특징이 되기도 하고, 캐릭터에 성우의 요소를 흡수시켜 새로운 캐릭터성으로 편입시키기도 한다. 반면 버튜버의 성캐일치는 일반적으로 안의 사람이 드러나지 않으며 안의 사람의 활동 또한 캐릭터의 명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의 사람이 드러내는 특징 자체가 그대로 연기하는 캐릭터의 특징이 된다.] 예전에는 캐릭터 연기를 중요시 여기는 경향이 있었지만 상당히 자유로워진 편이다. 방송이 진행될수록 캐릭터가 바뀌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요소마저 캐릭터 성격의 하나로 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기업세가 개인세가 되어 아바타가 완전히 바뀌서도 이전의 인기를 그대로 따라가는 사례가 상당히 많다. 결국 본질은 방송인이라는 것.
348
* 대표적인 사례가 홀로라이브 EN 2기의 [[하코스 벨즈|벨즈]], [[오로 크로니|크로니]]는 캐릭터 설정[* 원래 캐릭터 설정은 벨즈의 경우 혼돈, 크로니의 경우 쿨 뷰티]과 달리 방송에서의 행적 때문에 성격이 점점 변하더니 이내 완전히 반대[* 벨즈의 경우 질서, 크로니의 경우 허당. 엄밀히 말해서 이쪽이 진짜 본인의 성격에 가깝다. 이런 사례는 꽤 많은 편이며 데뷔 1년 후 자신의 첫 방송을 돌아보는 컨텐츠에서 너무 컨셉에 충실하려는 자신의 모습을 부끄러워하는 경우가 많다.]가 되어버렸지만 오히려 인기를 끌었다. 애초에 시청자들은 캐릭터를 보고 시청한 것이 아닌 내면의 인물을 바라보거나 캐릭터와 내면의 인물을 동일시하며 시청한 것이기 때문이고, 본질적으로 방송이 재미있었기 때문에(=내면의 사람의 실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홀로라이브에서 [[졸업(버츄얼 유튜버)|졸업]]한 인기 멤버에 다른 성우를 기용하지 않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350
* 반면 이러한 점을 전혀 캐치하지 못하고 똑같은 캐릭터를 4명이 출연시킨 [[키즈나 아이]]는 성우 다변화 이후 순식간에 몰락하고 만다.[* 정확히는 1세대 버튜버 특성상 성우 한 명으로는 컨텐츠를 많이 만들 수 없으니 성우를 여러 명 기용한 것이고 실제로 담당 성우가 꽤 과로를 했었다고 한다. 여기까지는 그래도 일부 이해하는 분위기였지만 여러 키즈나 아이를 동시에 출연시키자 더 이상 키즈나 아이는 아이돌 같이 팬들이 애호할 수 있는 단독 인물이 아니게 되었고 이후 여러 무리한 사업 끝에 upd8은 파산하게 된다.] [[게임부 프로젝트]] 역시 성우 교체 이후 구독자 수가 이틀만에 약 3만명이 감소했으며, 만 단위의 싫어요 폭격을 받았다. 물론 [[세아 스토리]]처럼 2번이 바뀌어도 5년간 잘 운영된 예외도 있다.
352
* 버츄얼 유튜버는 방송인이 일상생활과 다른 [[페르소나]]를 장기간 [[RP|연기]]한다는 점에서 연극 배우와 비슷하다 할 수 있다. A 연극에서 B 캐릭터 연기를 했던 배우가 나중에 C 연극에서 D 캐릭터 연기를 할 때 왜 B같이 연기를 안하냐고 따지지 않듯, 방송인과 명의상 활동하는 캐릭터 아바타는 다른 존재로 간주된다. 시청자에게도 버튜버 캐릭터를 연기자 본인과 별개의 존재로 간주하는 것이 예의로 여겨지고, 그 버튜버가 새 명의의 버튜버로 [[환생]]했다는 사실(속칭 [[빨간약(버츄얼 유튜버)|빨간약]])을 알더라도 이전 버튜버와 별개로 간주하는 것이 예의로 여겨진다.[* 다만 최근에는 환생하는 방송인이 많아져서 이미 알 사람들은 다 아는 공공연한 비밀이 되어 잘 지켜지진 않는다.]
354
* 캐릭터 연기의 분업화
356
생방송 진행, SNS 관리 등 활동 분야마다 실제 연기하는 사람이 다른 경우도 존재한다.[* 목소리, 게임플레이, 트위터 등의 활동 영역을 전부 다른 사람이 담당하는 것이다.] 주로 기업형, 게이머형 유튜버에서 발견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이 스타일은 특성상 논란이 될 수 있다. 일반적인 PvP게임에서 대리를 사용했다면 게임 계정이 정지를 먹을 수 있는 심각한 어뷰징 행위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게임을 분업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물론 [[모에미 & 요메미#요메미|요메미]]처럼 의외로 게임 실력이 진짜였던 경우, [[전뇌소녀 시로]]처럼 입담으로 메워서 게임을 잘하는 인상이 되어버린 경우도 있고 아즈림처럼 실제 배우가 업무상의 불합리한 부분을 트위터로 폭로해 버려 연기자도 직접 작성하는 트윗도 있던 게 나중에 밝혀지는 경우도 있다. [[키즈나 아이]]는 게임을 못하는 실황으로 유명해서 이 형편없는 실력이 절대로 [[대리]]일 리가 없다는 안타까운 신뢰를 받기도 했다.
358
* 공연과 아이돌 활동
360
규모가 큰 회사일수록 소속 버튜버들을 가수나 아이돌처럼 활동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공연 티켓을 팔고 각종 굿즈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 방식은 단점이 있는데 상대적으로 본업인 방송이 소홀해질 수 있다는 점과, 필연적으로 다른 전업 아이돌과 춤 및 노래 실력이 비교당하게 된다는 점, 그리고 실제 사람이 드러나지 않는 이상 누군가가 대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춰도 관객은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과거부터 [[립싱크]] 등이 많아 아이돌을 정직하고 엄격한 잣대로 평가하는 분위기가 강했고, 일본처럼 성장형 아이돌이 아니라 처음부터 완성형인 아이돌을 원하는 분위기가 강했다. 이는 태생상 아마추어일 가능성이 높은 버튜버들이 프로급의 실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말이 되고, 이는 아이돌이 연습생 시절부터 수년간 훈련을 받아도 실력이 떨어진다고 비판받는 현실에 비춰보면 사실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다. 그럼에도 워낙에 앞서 말한 공연 티켓과 굿즈 장사가 이득이 크다보니 독이 든 성배인 걸 알면서도 소속 버튜버들을 아이돌로 포장하려 시도하는 경우가 계속 나오고 있고, 관련 논란도 계속 나오고 있다.
362
=== 수익 모델 ===
364
버츄얼 유튜버 역시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나 [[인터넷 방송]]과 비슷한 수익 모델을 가지고 있는데, 2024년 기준으로 버츄얼 유튜버의 수익을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다.
366
368
* 광고 게재 : 배너 광고, 동영상 광고 등 유튜브와 트위치의 가장 기본적인 수익 수단.
370
* [[도네이션|후원]] : SOOP의 별풍선, 트위치의 비트 응원이나 도네이션[* 서드파티 후원], 유튜브의 슈퍼챗 등 방송인을 후원하기 위한 결제 방식. 월 수익이 일정하지 않다.[* [[https://playboard.co/youtube-ranking/most-superchated-all-channels-in-japan-daily|인기 유튜버는 방송 한 번으로 백만엔]] 이상 모이기도 하는 등, 세계적인 슈퍼챗 상위권에는 버츄얼 유튜버들이 제법 석권하고 있다.]
372
* 구독형 상품 : 유튜브의 멤버십, [[트위치]]의 구독 시스템이 여기에 해당하며, 후원보다는 안정적인 수입을 기대할 수 있다. 플랫폼에 따라 추가 혜택을 주는데, 유튜브는 멤버십에 가입하면 이름이 다른 색으로 표시되며 이름 옆에 구독 뱃지가 붙고 이모티콘 등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에 더해 멤버십 회원에게만 공개되는 특전 영상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방송 플랫폼이 아닌 구독 사이트로는 fanbox[* 초기에는 fanbox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위의 유튜브 멤버십이 생긴 이후로는 멤버십이 거의 대체하고 있다.], patreon 등이 있다.
374
* 유료 광고 방송 : 외부 기업에서 의뢰가 들어온 상품을 동영상 혹은 생방송으로 홍보하는 방법. 대부분 모바일 게임이 차지하는 편으로 버츄얼 유튜버 본인이 게임에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하는 경우도 제법 많아진 편이다.
376
* 캐릭터 상품 제작 : 흔히 말하는 [[굿즈]]를 만들어 판매하는 것으로 인터넷이나 [[코미케]], 전문 업체 혹은 소속사를 통해 판매한다. 이걸로 주로 생일이나 데뷔 N주년 기념으로 스페셜 한정 굿즈를 만들어 판매하기 시작한다.
378
* 이에 더해 일부 시츄에이션 보이스나 보이스 드라마등의 음성 매체도 제법 많은 편이다. 초기 음향 장비 투자를 제외하면 제작비가 굿즈에 비해 월등히 적게 들어가고 버튜버에게 많은 수익 지분이 돌아가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380
* 외부 활동 : 외부 이벤트 참여, TV 지상파 출연, 라이브 공연 등 유튜브 밖의 등장하는 방식 초기에는 참여, 출연 등이 대부분이었지만 이후 버츄얼 유튜버가 직접 이벤트를 주최하거나 버츄얼 유튜버가 메인이 되는 TV 방송도 생겨났다.
382
* 자사, 지방자치단체 홍보 : 목적 자체가 자사 혹은 지자체 홍보인 유튜버들이다. 해당 활동을 하는 버츄얼 유튜버는 업무가 버튜버 활동인 회사 직원, 공무원에 가깝다. 전자는 자사 작품이나 물건 홍보를 통해서 회사 차원에서의 수익 증대를 목표로 하고, 후자는 [[김선태|홍보맨]], 일본의 [[유루캬라]]와 동일하게 지방자치단체의 소식을 알리거나 정책을 홍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384
* 외부 홍보 : 자신이 소속되지 않은 지방자치단체, 회사 등의 홍보 모델로 활동하는 것으로, 주로 일본에서 대기업 규모 버츄얼 유튜버가 맡는다. 모든 버츄얼 유튜버의 수익 모델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수익도 안정적인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특히 [[hololive 프로덕션]]은 이를 버츄얼 유튜버 활동의 최종 테크로 간주하고 있다.
386
388
=== 난점 ===
390
>포장 없이 솔직하게 말할게 알겠지? 버튜버가 되는 일은 무슨 동화 같은 이야기가 아니야. 핑크빛 안경을 벗어야 해.
392
>실제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너무 쉽게 보고 있어. 시청자들이 늘어나면 재밌지. 하지만 동시에 안티도 많아진다는 뜻이야.[* 사실 이건 잘 된 케이스고 '''대부분은 시청자도 많이 늘어나지도 못 한다.'''] 성격이 둔감하다고 해도 그런 걸 완전히 무시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지.
394
>하지만 둔감하지 못하다고 해도 일단 들어오면 그렇게 되도록 노력해야 돼. 그렇지 못하면 우울함으로 된 깊은 에스프레소 웅덩이에서 헤어나오지 못 할 거야.
396
>----
398
>[[타카나시 키아라]]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1DkvTZeoIb4)][* 실제로 버츄얼 유튜버들 대다수가 키아라와 같은 생각을 공유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업세든 개인세든 대다수 버츄얼 유튜버들이 이구동성으로 고충을 토로하며 버츄얼 유튜버의 길을 신중하게 결정하라고 조언할 정도.]
400
402
* '''일반 유튜버와 한계/난점은 동일하다.'''
404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터넷 방송/한계)]
406
408
* 방송인과 버튜버의 불일치감
410
버츄얼 유튜버는 방송인의 일상과 다른 [[페르소나]]를 장기간 [[RP|역할 연기(Role Playing)]]를 해야하는 직업이다. 하지만 아무리 [[메소드 연기]]를 한다고 해도 장기간 생방송을 하는 이상 방송인과와 아바타 캐릭터의 불일치는 계속 생기게 되고, 이러한 방송을 실시간으로, 연 단위로 지속해야 한다. 이 때문에 버츄얼 유튜버는 캐릭터 연기에 대한 압박감을 크게 느끼게 된다. 이런 문제 때문에 초창기 버튜버처럼 철저하게 RP를 지키는 스트리머는 2020년대에 들어서부터는 그다지 많지 않고, 방송에 익숙해지면 RP는 시청자들과 티키타카하는 용으로 쓰이는게 부지기수다. 아바타는 그저 [[인형탈]] 정도에 불과한 방송인들도 상당하다.
412
414
* 아바타 및 캐릭터에 대한 권리 문제
416
연기자라면 보통 그만 두지 않고 계속 시청자들에게 기억되면서 버튜버를 하고 싶어하겠지만 그것도 마음대로 되는 일이 아니다. 성적이 나쁘면 언제든지 프로젝트가 종료될 수 있고 타의에 의해 졸업될 수도 있다. 이경우 [[졸업(버츄얼 유튜버)|졸업]]이라는 단어는 실제로는 허울이고, 실상은 계약 만료/해지에 불과하다. 이 과정에서 계약에 따라 연기자가 만드는데 기여한 캐릭터는 회사에 귀속될 수도 있다.
418
420
* 신상 공개 문제
422
버튜버 시청자들은 일단 빨간약을 폭로하지 않는 것을 예의로 여기긴 하지만, 솔직히 제대로 지켜지진 않는다. 방송인 신상정보를 캐고 다니는 시청자들이 많고, 그렇게 신상정보가 노출될 경우 심하면 [[스토킹]] 등의 신변 위협까지 받을 수 있다. 물론 실제로 얼굴을 드러내고 하는 방송에 비하면 이런 신변노출 위험이 낮긴 하나, 버튜버라고 아예 신변노출이 없는 건 아니다. 실제로 [[스즈하라 루루]]처럼 스토킹 때문에 은퇴한 경우도 있다. 개인이나 회사 차원이 아니라 [[빌리빌리#2023년 인플루언서 실명제 강행|빌리빌리의 인플루언서 실명제]]처럼 플랫폼이나 국가 차원의 개입이 들어오면 신상정보가 노출되지 않는다는 버튜버의 장점도 무색해질 수밖에 없다.
424
426
* 컨텐츠의 한계
428
버츄얼 유튜버의 특성상 다양한 컨텐츠를 제작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장비부터 외부에서 사용하기에 많은 제약이 있으며 브이로그와 유사한 외부 녹화 컨텐츠를 진행할 경우 신분이 특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세계급으로 활동하는 홀로라이브의 경우 장갑까지 끼는 방식으로 신체 노출 자체를 철저하게 막았는데, 실제로 피부만으로 신원이 노출된 사례가 존재하기 때문. 이렇게 [[https://youtu.be/r1lX4ZverEg?si=-k0rXInxdASPFukP|오프 콜라보]]를 하는 사례도 대부분은 신원 노출 최소화를 위한 조치가 이루어진다.] 한정된 공간에서 게임, 노래, 춤 등 한정된 컨텐츠만으로 진행을 할 수밖에 없다. 이 한정된 컨텐츠만으로 시청자들에게 재미와 호기심을 이끌어 내려면 상당한 입담과 능력, 예능 감각 등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컨텐츠를 진행할 공간(즉, [[부동산]])과 전용의 장비까지 필요하다. 일부에서는 캐릭터만 예쁘게 잘 뽑으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예쁜 캐릭터는 결국 컨텐츠를 만드는 도구로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오로지 그것만으로 만족하는 사람은 굉장히 소수이기 때문에, 모델만 가지고서 인기가 늘어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아무리 아바타를 이쁘게 뽑았다한들 방송 재능과 운이 없으면 시청자 수는 늘어나지도 않고 금방 잊힌다.
430
432
* 유튜버 [[중년게이머 김실장]]이 버튜버의 난점을 인터뷰한 영상이 있다.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4pWaLGKHVB4)]
434
436
== 여담 ==
438
=== 성별 관련 ===
440
버츄얼 유튜버 시청자의 남녀 성비는 약 3:1로 남성이 많기 때문에 [[https://arca.live/b/holopro/118322107|#]] 대체로 남성에 비해 여성이 시청자를 확보하는데 수월하다. 하지만 [[니지산지]]와 같이 오히려 여성 시청자의 비율이 훨씬 높은 그룹도 있으며, 대표적으로 [[쿠즈하]]와 [[카나에(니지산지)|카나에]]는 버츄얼 유튜버 전체를 통틀어 첫번째를 다투는 인기를 누리고 있다. [[https://blog.vive.com/us/best-vtubers-of-2024-watch-hours-and-superchat-wrap-up/|#]] [[니지산지 EN]] 역시 여성 시청자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면서 [[복스 아쿠마]]를 선두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2022년에는 버츄얼 유튜버 슈퍼팻 순위 10명 중 4명이 [[니지산지]] 소속의 남성 라이들이었다.[[https://playboard.co/en/youtube-ranking/most-superchatted-v-tuber-channels-in-worldwide-yearly?period=1640995200|#]] 또한 남성 시청자라고 남성 버튜버를 보지 않는 것도 아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50만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한 [[카가미 하야토]]는 자신의 시청자층의 70%가 남성이라고 밝힌적이 있다.
442
444
한국에서도 [[PLAVE]]가 고정 팬층을 형성해 국내 남자 버튜버 탑클래스를 차지하고 있다. 후발주자로 중세 동양풍 캐릭터인 [[향아치]]와 [[남궁혁]]도 있다.
446
448
=== [[버미육]] ===
45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버미육)]
452
454
=== C튜버 ===
456
성우가 교체된 버츄얼 유튜버라는 뜻이다. 다만 후술할 유래에서 알 수 있듯 단순히 성우가 교체된 버튜버 전부를 총칭하기 보다는 [[어른들의 사정]]이나 회사 내부적 문제로 팬들이 교체를 원하지 않았음에도 어쩔 수 없이 성우가 교체되어 반감을 사는 경우에 주로 쓰인다.[* [[세아 스토리]] 처럼 성우가 정상적으로 계약기간을 끝내고 박수를 받으며 퇴장하는 경우는 보통 지칭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시즌' 이나 'n호기' 등으로 부르며 각 성우 시즌을 분리해 부른다.]
458
460
그 유래는 2019년 일본의 버츄얼 유튜버 그룹 [[게임부 프로젝트]]의 연기자 전원이 하차하면서 운영 측에서 내놓은 "우리는 연기자 중심인 V튜버가 아니라 캐릭터 중심 C튜버다. 그러니 성우 교체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다."라는 변명에서 나왔다. 좋은 뜻으로 쓰이지는 않으며, 팬덤에서는 이를 'C 당했다'고 표현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RIOT MUSIC]]의 도묘지 코코아가 있다.
462
464
=== 일반 유튜버 → 버츄얼 전환 ===
466
사실 버튜버가 처음 데뷔할때부터 각잡고 버츄얼 유튜버로 시작한 사람만 있는것은 아니고, 버츄얼 유튜버라는 개념이 흥행하자 본래 일반 유튜버/스트리머로 시작한 사람이 버츄얼 유튜버로 전향하는 케이스도 꽤 많이 나오고 있다. 일본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흔히 [[전생조]]라는 용어로 부른다. 다만 버츄얼 유튜버 랭킹에서 이미 일반 유튜버로써 구독자수를 많이 쌓아놓은 사람이 갑자기 버튜버로 전향하면서 실제 '버튜버'로써의 인지도나 역사는 깊지 않음에도 버튜버 랭킹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치팅에 가까운 행위 때문에 대형 유튜버가 버튜버로 전향하는 경우 인식이 좋지 않으며[* 대기업들은 이미 일반 유튜버로써 모아놓은 구독자층이 탄탄하기에 버츄얼을 흥미 위주로 몇번 깔짝 시도해보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애초에 구독자층이 처음부터 버튜버를 기대하고 구독한 사람들도 아니기 때문에 버츄얼이 필수도 아니고 오히려 기존 구독자들이 괴리감을 느끼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결국 제대로된 버튜버 활동이 아닌 다시 일반 유튜버로 돌아오거나 일반 유튜버와 버튜버 활동을 애매하게 병행하는 경우가 태반이기 때문이다. 제대로된 버튜버도 아닌 사실상 일반 유튜버가 편법으로 버튜버 랭킹에서 상위권을 차지하여, 처음 시작할때부터 버튜버로 시작해 정직하게 버튜버로써 구독자수를 모은 사람들을 찍어누르니까 반감을 산 것.], 이에 따라 일본 버츄얼 랭킹 사이트에서는 전생조 랭킹을 따로 분류하였다.
468
470
한국에서도 비슷한 개념의 용어인 [[어드밴스드 듀라한]]이 있다. 차이점이 있다면 '전생조'는 버츄얼 전향 전에 얼굴을 깠냐 안깠냐의 여부 상관없이 폭넓게 쓰일 수 있지만, 어드밴스드 듀라한은 [[듀라한(속어)|얼굴을 공개하지 않은 일반 유튜버]]가 버츄얼로 전향한 케이스만을 속한다. 이미 얼굴을 깠던 사람이 버츄얼로 전향한다면, 이는 전생조에만 속한다. 또, 전생조는 일단 버츄얼 전향 후, 기본적으로 자신이 아바타 본인이라는 설정을 기반으로 연기하는 롤 플레잉(RP)을 엄수하는 것에 비해 어드밴스드 듀라한은 그런거 없이 버츄얼을 판떼기 정도로 여긴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 자칭 버츄얼 유튜버라고는 하나 귀찮다는 등의 이유로 아바타를 아주 가끔씩만 사용하고 실제로는 노캠, 노아바타 위주의 방송이 대부분인 경우도 제대로된 버츄얼 유튜버라기 보다는 그냥 '버츄얼 판떼기가 있을 뿐인 [[듀라한]]' 정도로 취급받는다.
472
474
또, 전생 내지는 버츄얼 유튜버를 표방했으나 실물 캠방을 같이 병행한적 있는 경우[* [[루이쨘]], [[세렌디]] 등]도 있는데 전통적인 '버츄얼 유튜버'의 정의는 본인이 그 아바타라는 RP를 엄수해야하므로 자의적으로 [[빨간약(버츄얼 유튜버)|실물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암묵의 룰이 있기 때문에 제대로된 버튜버가 아니라는 반응도 있으며, 이미 실물 캠방 위주의 방송을 진행해왔던 사람이 버츄얼을 만들 경우 완전 버츄얼로 전생하지 않고 여전히 버츄얼 아바타와 실물 캠방을 병행하는 케이스가 있다.[* [[CodeMiko]], [[소니쇼]] 등] 이런 경우는 그냥 '버츄얼 판떼기가 있을 뿐인 일반 유튜버'이며 전생조에도, 어드밴스드 듀라한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이 경우엔 본인을 진지하게 '버츄얼 데뷔'[* 다만 버츄얼 아바타를 만들었다는 소식을 제목 어그로로 버츄얼 데뷔라고 표현하는 경우는 많지만, 그 이후로도 실물 캠방을 진행하는 유튜버들이 많은 등 '버튜버'의 정의를 제대로 알고는 있는지 의문인 행보를 보일때가 많다. 이런 사람들은 그냥 '버츄얼 판떼기'가 있을 뿐인 일반 유튜버이다.], '버츄얼 유튜버'라고 소개하기 보다는 '버츄얼을 만들었다' 내지는 '버츄얼 판떼기가 있다' 라는 식으로 버츄얼 = 아바타를 치환해서 부른다.
476
478
전통적인 버츄얼 유튜버 팬덤에서는 그나마 전생 선언 이후에 제대로된 버츄얼 방송 주력, RP몰입을 준수하는 정도나 [[전생조]]로 취급해주지, 그렇지도 않고 이미 비-버츄얼 방송으로 구독자를 많이 모은 일반 유튜버가 그저 호기심 위주의 시도로 버츄얼을 만들고 버튜버를 표방한 이후에도 버츄얼을 주력으로 쓰는게 아니라 가끔씩만 깔짝깔짝 쓰면서 자칭 전생 이후에도 제대로된 RP 몰입도 없고 심지어는 실물 캠방을 병행하기도 하는 등, 이렇게 소위 말하는 '버츄얼 판떼기가 있을 뿐인 일반 유튜버'를 버튜버로 분류하는 것에 매우 부정적이다. 그냥 [[어드밴스드 듀라한]]처럼 용어를 따로 분리해서 부르자고 할 정도. 다만 실물 위주의 활동을 병행하는 인물이더라도, 버츄얼 활동을 일종의 부캐로써 따로 분리한 경우, 설령 동일인인걸 목소리 내지는 본인이 직접 티를 내는 등의 이유로 알 사람은 다 알더라도 일단 표면상 분리된 신분 하에서 진행하는 경우는 어느정도 용인되는 편이다.[* [[퍼리펄]]와 [[로나로나땅]] 등]
480
=== 관련 업계 ===
482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성우, 작곡가, [[우타이테]] 등의 [[서브컬쳐]] 종사자들의 부업으로도 성행하고 있다. 해당 직종들은 주로 프리랜서거나 활동 기간 사이의 텀이 있는 직업들이 많아서, 아예 기업에서 각잡고 계약이 들어올 수도 있고, 부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러스트레이터, 만화가의 경우, 이미지가 자급자족이 가능해서[* 이를 셀프 수육이라고 한다.] 초기 투자비를 아낄 수 있기 때문에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성우나 우타이테같은 경우 기존에 쓰던 녹음 설비나 환경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는 [[이누야마 타마키]]([[츠쿠다니 노리오]]), [[시구레 우이]] 등이 있다.
484
486
버츄얼 유튜버가 인기를 얻으면서, 특히 작곡가들이나 일러스트레이터 등 동인쪽의 이런저런 바운더리에서 버츄얼 유튜버의 크리에이티브 활동에 합류하는 현상이 늘어났다. 실제로 [[홀로라이브]]에서는 아예 유명 프로듀서들과 콜라보 프로젝트를 런칭했으며, 대표적으로 [[holo*27]]의 [[DECO*27]], [[hololive × HoneyWorks]]의 [[HoneyWorks]] 등이 있다. 버츄얼 유튜버와의 교집합이 보여지거나 실제로도 자주 관계되는 업계는 다음과 같다.
488
490
* [[동인 음악]]
492
* [[VOCALOID/프로듀서]]
494
* [[동인 작가]]
496
* [[우타이테]]
498
실제로도 버츄얼 유튜버의 '불러보았다'는 의의상 과거 니코니코 동화의 우타이테와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키즈나 아이 이후 생겨난 1세대 버튜버들 중 원래 우타이테 활동을 하다가 넘어온 사람들이 다수 존재하며, 이후로 많은 우타이테들이 버츄얼 유튜버로 전향했기에 연관이 둘이 연관이 매우 깊은 편이다.
500
502
=== 한국 내 인식 ===
504
[include(틀:NPOV, 토론번호=FlippantSomberOceanicSchool, 대상=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의 버튜버에 대한 거부감)]
506
한국 버튜버의 시작으로는 [[세아 스토리]], [[초이]] 등등 [[키즈나 아이]]의 영향을 받은 유튜브 편집 위주 케이스를 초기로 본다. 하지만 일본처럼 실황, 크루 위주의 방송이 대세가 되었는데 니지산지, 홀로라이브의 영향도 있지만 가장 큰 영향을 준 케이스는 이미 예전부터 존재했던 소위 [[듀라한]] 스타일의 방송 포맷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도 많은 듀라한이나 캠방이 3D 모델링이나 라이브 2D등을 들고 나오며 버튜버 노선을 걸었고, 이후 데뷔하는 버튜버들 대다수도 이러한 듀라한 스타일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때문에 듀라한을 한국 버튜버의 전신으로 보기도 한다.
508
510
때문에 한국 버튜버는 기본적으로 일본의 컨셉 버튜버보단 이미 국내에 존재하던 듀라한식 방송에서 발전된 케이스가 많기에 결이 비슷하지만 다른 경우가 많다. 일본은 [[니코니코 동화]]의 각종 악기 고수들도 손마저 가리고 영상을 남기는 식의 영상제작이 꽤 오래 이어져오고 그 사람이 누구인지보다 닉네임 누구누구님의 팬이 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여겨온 문화인 반면, 한국은 문화적으로 악기 고수들은 물론 [[사이버 렉카]]들도 캠을 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보니, 캠방이나 반캠 방송인이 버튜버로 전향하는 소위 '어드밴스드 듀라한'의 케이스가 많다. 이러다보니 버튜버와 듀라한의 차이 즉, 캐릭터가 움직이면 버튜버고 안 움직이면 듀라한이라 할 정도로 듀라한 포맷의 변형 형태로 인식되는 경향이 많다.
512
514
특정한 컨셉, 즉 RP를 가지고 방송하는 것이 버튜버의 시초라는 것을 고려하면 한국 버튜버는 사실상 노캠이나 반캠의 일종처럼 활동하는 것이므로, 관련 커뮤니티에선 "과연 한국 버튜버가 버튜버인가? 아니면 얼굴 대신 캐릭터를 보여주는 노캠 방송인인가?"하는 논쟁을 벌이곤 한다.[* [[https://youtu.be/tKj_aR6DOwI|영상]]] 이렇다보니 캠방에 익숙한 인방 시청자들 역시 [[아니메]] 스타일의 페르소나 가득한 캐릭터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한 예로, 스텔라이브의 [[아야츠노 유니]]는 일본 발음 가득한 어눌한 한국말을 기반으로 팬층을 다졌고 초기에는 유니콘 나라에서 넘어와 일본에 있다가 [[강지]]사장을 만나서 한국으로 와서 발음이 이렇다는 설정이었다. 하지만 악놀에서 유니를 만난 [[감스트]]는 이분 일본인이냐고 물었고 유니는 끝까지 유니콘 나라 사람이라고 컨셉을 지키려고 했다. 감스트는 끝까지 컨셉을 이해하지 못한 채 유니콘 나라가 일본이냐고 물어보는 모습을 보였다.]
516
518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빨간약(버츄얼 유튜버)|실물]]을 감추고 캐릭터를 내세운다는 점 때문에 거부감이 든다는 의견도 나온다. 부정적인 측에서는 그 사람의 끼나 매력, 재미 같은 요소에 주목하기보다, 캐릭터 뒤 실제 사람이 못생겼을 수도 있는데 어떻게 캐릭터만 보고 좋아할 수 있냐는 식의 [[외모지상주의]]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https://m.inven.co.kr/board/maple/5974/4305767|#]] '실물을 감춘다'는 점에선 일반적인 노캠 방송도 비슷한 점을 공유하고 있지만, 노캠 방송과는 달리 버튜버는 캐릭터를 내세우고 팬들은 그 캐릭터의 외형을 보고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실물도 아닌 걸어놓은 그림을 보고 '예쁘다', '귀엽다' 같은 칭찬을 하며 열광하는 시청자들을 보고 위화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캐릭터와 실제 방송을 하는 방송인은 별개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캐릭터와 방송인을 동일시 하는 그러한 문화 자체를 이해하기가 힘들다는 말을 하는 사람도 있다.
520
522
의외로 이런 거부감은 일반인과 오타쿠 모두에게 해당한다. 이는 버튜버 특유의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어중간한 점에서 기인하는데, 일반인은 오타쿠스러운 겉모습 때문에 기피하고, 오타쿠는 어디까지나 픽션의 캐릭터, 서사를 덕질하는 이들이기 때문에 버튜버의 내용물이 실존인물이라는 이유만으로 거부감을 표하는 이들이 많다.[* 실존인물이라서 언제든지 구설수에 휘말릴 수 있는 점과 은퇴하면 캐릭터의 수명이 그대로 끝나는 것 역시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가상의 캐릭터와 비교했을 때 치명적인 단점이다.] 버튜버에 대해서 혐오적인 시선은 과거에 비해선 많이 줄어든 편이지만, 여전히 버튜버가 취향에 맞는 사람은 안 맞는 사람보다 더 드물기 때문에 버츄얼 유튜버는 주류 사회의 컨텐츠가 아니라 철저하게 서브컬처로만 인식되게 된다.
524
526
다만, 무조건 동일시한다면 소재로 삼기 힘든 빨간약과 같은 소재를 오히려 재치있게 비틀어 재미요소로 승화하는 버튜버들도 있다. 시청자들의 유형을 보더라도 그러한 캐릭터성을 어느정도 동일시하며 보는 경우도 있지만, 안의 사람과 캐릭터를 분리해서 보는 경우나, 아예 안의 사람만 보는 경우, 반대로 아예 해당 캐릭터의 미적인 디자인만 보는 경우 등의 다양한 케이스가 있고 각자 즐기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식이나 문화가 다 그럴 것이라고 단정짓기보다는 "이런 경우들도 있구나~" 하고 넘어가는 편이 서로서로 더 나을 수 있을 것이다.
528
530
한국에서 해외 버튜버 콘텐츠, 그중 특히 버튜버가 시작된 일본 버튜버 콘텐츠를 제대로 즐기려면 일본어 청해 능력이 요구되기에 한국 시청자들에게는 진입장벽이 될 수 있다.[* 영어권 등 다른 언어권의 버튜버를 좋아할 수도 있겠지만, 일본에서 버튜버가 시작된 만큼 버튜버 콘텐츠에 있어서는 일본어에 대한 수요가 높다.] 비유하자면 자막없이 외국영화보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 일본 버튜버 콘텐츠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은 [[클립(버츄얼 유튜버)|클립 영상]] 등으로 접하거나, 생활 소음이나 [[노동요]] 처럼 그냥 목소리가 듣기 좋아서 틀어두는 식으로 소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비교하면 결국에는 아무래도 모국어인 한국어로 방송하는 버튜버가 접근성이 더 좋다고 할 수 있다. 2020년대 이전까지는 한국어로 방송하는 버튜버가 적었지만, 지금은 한국 버튜버 풀이 꽤 커진 상태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청자들의 니즈를 충족해 줄 수 있게 되기도 했다.[* 이런 접근성 문제 때문에 전부터 해외 버튜버 회사의 한국 진출을 바라는 시청자들이 있었다. 과거에는 [[니지산지 KR]]이 있었으나 실적 부진과 여러 내우외환으로 철수했고, [[hololive]]의 경우 버튜버가 개인적으로 간접적인 관련성을 드러내는 경우는 있으나 직접적으로 한국 지사를 세워 한국어를 주 언어로 하는 버튜버를 데뷔시키는 모험을 하지는 않았다. 시청자들도 양국 관계를 고려해 괜히 긁어 부스럼 생기는 꼴이 싫어서 버튜버 측이 출신지를 드러내지 않길 바라는 경우도 있었다. 다만 최근에는 [[오토노세 카나데]]같이 출신지를 드러내는데 거리낌 없는 경우도 나오고 있고, 일본의 브레이브 그룹이 [[스텔라이브]]를 인수하는 형식으로 한국에 진출하려 시도하는 등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532
534
=== 관련 판례 ===
536
일본은 버튜버의 인격권, 사생활의 권리를 안의 사람의 권리와 결부하여 대체로 인정하는 추세이다. 사건번호 ワ사건들로, [[https://www.lawtimes.co.kr/opinion/139254|일본 사건번호 체계]]에 의하면 민사소송사건이다.
538
540
>'''東京地判令和2年12月22日(令和元年(ワ)第18748号)'''
542
>----
544
>本名や年齢は個人を特定するための基本的な情報であるところ、インターネット上で本名や年齢をあえて公開せずにハンドルネーム等を用いて活動する者にとって、これらの情報は一般に公開を望まない私生活上の事柄であると解することができるから、本件投稿は原告のプライバシーを侵害するものであったと認められる。
546
>(본명이나 연령은 개인을 특정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인데, 인터넷상에서 본명이나 나이를 굳이 공개하지 않고 닉네임 등을 이용해 활동하는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정보는 일반적으로 공개를 원하지 않는 사생활상의 사항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므로, 본건 투고는 원고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것으로 인정된다.)
548
550
2022년 3월 [[도쿄지방재판소]]는 버튜버를 모욕한 것은 안의 사람을 모욕한 것이 되어, [[손해배상]]이 인정된다고 [[https://www.yomiuri.co.jp/national/20220325-OYT1T50222/|판시했다.]]
552
>'''東京地判令和3年4月26日(令和2年(ワ)第33497号)'''
554
>----
556
>「A」の動画配信における音声は原告の肉声であり、CGキャラクターの動きについてもモーションキャプチャーによる原告の動きを反映したものであること、「A」としての動画配信やSNS上での発信は、キャラクターとしての設定を踏まえた架空の内容ではなく、キャラクターを演じている人間の現実の生活における出来事等を内容とするものであることも考慮すると、VTuber「A」の活動は、単なるCGキャラクターではなく、原告の人格を反映したものであるというべきである。
558
>(A[*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시기상 [[유즈키 로아]]로 추측된다. ]의 스트리밍으로 전송되는 음성은 원고의 육성인 점, CG캐릭터의 움직임음 원고의 움직임을 모션 캡쳐로 반영하는 점, A로써의 스트리밍이나 SNS상 활동이 캐릭터로서의 설정을 감안한 가공의 내용이 아니라 캐릭터를 연기하는 사람이 현실에서 겪는 일들을 내용으로 하는 점을 고려하면, 버튜버 A의 활동은 그저 CG 캐릭터가 아니라, 원고의 인격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
560
>----
562
>あえて生育環境と結びつけてまで原告を批判する本件各投稿は、単なるマナー違反等を批判する内容とは異なり、社会通念上許される限度を超えて原告を侮辱するものとして、その名誉感情を侵害することが明らかというべきである。
564
>(굳이 생육환경과 결부시키면서까지 원고를 비판하는 본건 각 투고는 단순한 매너 위반 등을 비판하는 내용과는 다르며, 사회통념상 허용되는 한도를 초과하여 원고를 모욕하는 것으로서 그 명예감정을 침해하는 것이 분명하다 할 것이다.)
566
568
대한민국에서는 2025년 5월 14일, 버튜버와 관련된 최초의 판례가 등장하였다.[[https://www.lawtimes.co.kr/news/208792|#]]
570
572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2025가단50721호'''
574
>----
576
> * [[모욕죄]]가 성립하려면 피해자가 특정돼야 하지만, 반드시 성명이나 단체 명칭을 명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표현 내용과 주위 사정을 종합해 피해자를 아는 사람이 그 표현이 누구를 지목하는지 인식할 수 있다면 특정성이 인정된다.
578
> * 아바타는 사용자가 디지털 공간에서 자신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가상의 표현물로, 형법상 모욕죄는 사람의 사회적 평가라는 외부적 명예를 보호법익으로 삼고 있다. 현실 세계와 디지털 공간이 융합된 메타버스 시대에서는 아바타가 단순한 이미지가 아니라 사용자의 자기표현이자 정체성, 사회적 소통 수단이라는 점에서, 아바타에 대한 모욕도 실제 사용자의 외부적 명예를 침해할 수 있다.
580
> * 아바타를 사용하는 사람의 정체가 알려져 있고, 다수 대중이 아바타와 사용자를 동일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아바타에 대한 모욕이 곧 사용자에 대한 모욕이 될 수 있다. [[플레이브]]를 통해 A 씨 등(원고, 즉 플레이브 안의 사람)이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은 소속사의 정책과 무관하게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져 있으며, B 씨(피고. 플레이브를 모욕하는 내용의 글과 영상을 소셜 미디어에 반복적으로 게시하였다) 또한 이 같은 사실을 인식한 상태에서 글을 게시한 점 등을 고려할 때, A 씨 등은 특정됐다고 볼 수 있다.
582
== [[버츄얼 유튜버/관련 커뮤니티|관련 커뮤니티]] ==
584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버츄얼 유튜버/관련 커뮤니티)]
586
588
== 관련 사이트 ==
590
* [[https://virtual-youtuber.userlocal.jp/document/ranking/|버츄얼 유튜버 실시간 랭킹(일본어)]] - 유튜브 상에서 활약 중인 버츄얼 유튜버의 실시간 랭킹과 그 밖의 정보를 제공한다. 정렬을 바꾸면 구독자가 급상승 중인 버츄얼 유튜버나 재생 수 등으로 랭킹을 볼 수 있다. 이름 옆의 추이(推移) 버튼을 누르면 해당 유튜버의 재생 및 구독자의 기간별 변화 추이를 제공하며, 재생 수에 따라 예측되는 광고 수입까지 확인해 볼 수 있다.
592
594
2018년부터 버츄얼 유튜버 장르가 유행함에 따라 남의 캐릭터를 허락도 없이 쓰거나, 정지된 일러스트를 화면에 띄어놓는 등 제대로 조건을 갖추지 않은 스트리머들이 랭킹에 등재되어 논란을 빚기도 했다. 이 외에 일반 방송인이 버츄얼 유튜버로 전향한 경우, 그 전에 쌓아놓은 구독자를 버츄얼 유튜버로써 얻은 구독자로 보긴 어렵기 때문에 처음부터 버츄얼 유튜버로 활동한 경우와 공정성이 문제가 되어 결국 '[[전생조]]' 랭킹을 따로 집계했다.[* 이러한 문제의 절정은 2018년 3월 23일에 시작 랭킹 6위로 합류한 TheQuillmon 이라는 새로운 태국 버츄얼 유튜버가 나타났는데 버츄얼 유튜버로써의 인지도는 매우 조악한 수준이나 2015년 초부터 일반 유튜버로 활동해온 37만의 구독자를 가지고 있는 태국 내 한정 고인물이다. 동일 이 유튜버는 반나절도 안 되어 랭킹에서 사라졌다. 국내에서는 2021년 7월부터 노캠 방송인들이 버츄얼 유튜버로 전환하자 관련 커뮤니티들에서 논란이 있었지만, 버츄얼 유튜버 실시간 랭킹 사이트에서 '전생조'라고 부르는 것 처럼 해당 커뮤니티들도 이런 스트리머들을 [[어드밴스드 듀라한]]이라 부르며 구별하기 시작했다.] 다만 일반 유튜버로 활동한 경력이 있었던 사람이 새로운 계정에서 버튜버로 활동하는 건 전생조로 분류하진 않는다.
596
598
미국의 [[VShojo]] 소속 유튜버들도 등재 기준이 애매했는데, [[Chaturbate]]에서 데뷔를 한 프로옉트 멜로디(Projekt Melody)나 버튜버 [[냐타샤 냐너스]][* [[에일렌(유튜버)|에일렌]]과 비슷한 경력이다.] 등이 본격적인 버츄얼 유튜버 활동을 개시해서 폭발적인 구독자 상승을 이어나갈 때도 한동안 이 애매한 전생조 기준 때문에 순위 등록에 딜레이가 있었고 나중엔 Vshojo 소속 버튜버가 [[키즈나 아이]], [[홀로라이브]], [[.LIVE]] 같은 일본 유명 기획사들과 콜라보를 연이어 진행하는 상황이 되자 대부분 순위 등재가 되는 등 전생조의 등록과 해제에 대한 기준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심지어 다른 멤버들이 모두 등재됐는데도 VShojo에서 가장 구독자 수가 많은 냐너스만 여전히 순위에서 제외되었다가 최근에서야 등재되었다.
600
602
* [[https://vcraft.gg/trends/creators|브이크래프트 트렌드]]
604
606
* 방송중인 버튜버 목록
608
* [[Holodex]]: 현재 방송하는 버튜버들 목록을 보여주는 홈페이지. 원래는 [[홀로라이브]] 소속 버튜버들만 보여줬으나 이후에는 다른 기업세 및 개인세 버튜버도 볼 수 있게 바뀌었다.
610
* [[브니버스]][[https://vniverse.live/live|#]]: 현재 방송하는 한국 버튜버들 목록을 보여주는 홈페이지. [[홀로덱스]]의 한국판 홈페이지라 보면 된다.
612
* [[https://mysmallvtuber.net/|나의 작은 버튜버]]: 한국 버튜버들 목록과 기본 정보, 영상 목록, 음악, 기념일 등을 보여주는 홈폐이지.
614
616
* 관련 에셋 스토어
618
* [[https://assetstore.unity.com/|유니티 에셋 스토어]]
620
* [[https://booth.pm/ko|픽시브 부스]]
622
* [[https://vcraft.gg/|브이크래프트 스토어]]: 버츄얼 에셋, 데이터 플랫폼
624
626
* 관련 커미션 중개 사이트
628
* [[https://vcraft.gg/commissions|브이크래프트 커미션]]: 베타서비스
630
* [[https://artmug.kr/index.php|아트머그]]
632
634
* {{{#!folding [ 서비스 종료 ]
636
* [[VROZ]]: 버츄얼 유튜버 언론사.
638
* [[https://vloun.ge|Vlounge]]}}}
640
== 관련 문서 ==
642
* [[신비주의]]
644
* [[인터넷 방송]]
646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버츄얼 유튜버/용어, version=59, uuid=52322af9-5a69-4853-aaed-60e25214e37f, paragraph=3.5, this2=문서, title2=모욕죄, version2=1029, uuid2=b5686fed-492c-45d8-8add-fea77ecd620d, paragraph2=8.2.2)]
43
=== 졸업 ===
44
* [[아이리 칸나]]^^†^^
45
* [[가우르 구라]]^^†^^
46
* ~~[[우루하 루시아]]~~
47
* [[제로 프로젝트(버튜버)]]^^†^^